온디맨드 서비스의 가장 크게 수혜를 본 분야는 커머스분야다.

모바일커머스는 기존  pc기반의 전자상거래가 모바일로 채널변화하는 수준에 그쳤지만

온디맨드는 이보다 훨씬 차원높은 변화를 선보였다. 

첫째 판매자의 변화이다. 기존의 판매자는 물건을 판매하는 기업이나 전문 판매자였다면

온디맨드 서비스의 판매자는 특정서비스를 제공하는 개인 혹은 '누구나'로 확장되었다.

또한 상품판매자뿐만아니라 서비스제공자로 그 영역이 확대되었다.

이런 환경에서 서비스제공자는 실제 판매하는 상품을 보유하고 있지 않더라도 내가 가진 자산과 유휴시간등을 활용해

풀타임 또는 파트타임으로 일하며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수익을 얻는 활동이 가능해졌다.

 

둘째 거래물품의 변화다 기존에는 실물거래가 가능한 상품중심으로 상품을 사고팔았지만

이제 오프라인에서만 거래되던 서비스영역까지 거래가 가능해졌다.

기존에 오프라인에서만 서비스를 제공했던 택시호출, 주차장예약, 차량수리, 세차, 헬스를 비롯해 미용서비스, 레시피제공,

식재료제공, 식재료구매, 의료, 법률서비스까지 다양한 온라인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수많은 업체들이 등장했다.

 

마지막으로 배송의 변화다. 온디맨드 운송서비스와 제휴를  통해 실시간 배송서비스가 가능해졌다. 또

한 커머스 업체들도 자체물류서비스를 구축하거나 배송시스템을 강화하는 등 배송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온디맨드의 핵심은 바로 '즉시성'에 있기 때문이다.

주문,결제를 완료한 상품이나 서비스의 즉시 수령은 오디맨드 시대의 선결조건이다.

 

온디맨드 서비스 선진국으로 중국을 빼놓을 수 없다.

중국의 온디맨드 서비스는 우리나라보다 3~5년 정도 앞서 있다는 평가를 받을 정도다

2010년 이후 중국내 스마트폰 사용자가 늘어남에 따라 요식업체들이 O2O 마케팅을 도입하기 시작했다.

또한 중국 최대 커머스 기업인 알리바바는 온디맨드 서비스 시장 선점을 위해

중국 최대 가전 유통회사인 쑤닝원상과 상호 지분투자를 통한 제휴에 나섰고

백화점을 보유한 인타이 쇼핑의 최대 주주로 올라서는 등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지배력을 높여 온디맨드 시대를 대비하고 있다.

중국의 알리바바 외에 해외 기존 커머스 기업들의 온디맨드 시장 대응도 주목할 만하다

 

주문하면 즉시 제공이라는 온디맨드 트렌드 확산에 맞춰 커머스 업계에서는 다른 무엇보다 배송의 즉시성이 강화되고 있다.

특히 우버 등 콜택시 차량을 활용하여 배송 및 구매 대행 등으로 사업영역을 확장하고 있어서

기존 커머스 기업과 사업 영역 충돌이 예상된다.

그런 점에서 커머스 기업의 물류, 배송 시스템 강화는 필연적이라 할 수 있다.

대표적인 예로 커머스 기업의 변화와 혁신의 선두에 있는 글로벌 온라인 유통 최강자인 아마존을 들 수 있다.

아마존은 이미 2013년부터 배송서비스 강화를 위해 특정지역을 중심으로 신선식품을 익일 배송해주는 아마존프레시를

시범운영해왔으며,지역농가에서 직접 재배한 상품을 고객의 집으로 직배송해주는 파머스마켓서비스를 선보이기도 했다.

 

 

온디맨드서비스는 차량, 숙박 등과 같은 서비스로 시작하여 이제는 전 산업 분야로 확산되고있다.

큰 힘에는 큰 책임이 따른다고 했던가?

이렇게 온디맨드 서비스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동시에 전 세계 곳곳에서 법적 이슈, 기존 이익단체와의 충돌 등 논란도 함께 커지고 있다.

또한 ' 누구나 서비스르 제공할 수 있다'는 점도 검증되지 않은 사람이 서비스 제공자가 된다는 점에서 기존 규제와 충돌하게 된다.

이러한 논란과 이슈가 있음에도 온디맨드 서비스는 거스를 수 없는 메가트렌드로 다가오고 있다.

 

 

 

 

 

2016년 모바일 트렌드의 핵심은 온디맨드 (On-Demend)키워드로 모아진다.

온디맨드의 뜻은 '요구가 있을  때 언제든지'라는 뜻이다.

이제 고객은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상품을 주문하고 원하는 방식으로 바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되었다.

이런 모바일앱 기반의 주문형 서비스는 예약뿐 아니라 서비스 이용시점과 장소 선택,

주문 처리 상황 확인, 그리고 결제까지 가능하다.

 

 

온디맨드는 단순한 서비스 수준을 넘어 '온디맨드 경제'로도 바라볼 필요가 있다고 한다.

온디맨드의 핵심은 소비자가 원하는 것을 원하는 때에 제공하는 것인데,

반대로 그 제품과 서비스를 공급하는 주체 역시 변화되었기 때문이다.

기존에는 서비스 제공자가 제품 혹은 서비스를 공급하는 기업이었다면

온디맨드 시대에는 유휴 시간과 자원, 능력을 갖고 있는 개인으로까지 그 범위가 확대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사례로 우버를 꼽을 수 있다.

우버는 처음에 우리나라에서도 화제가 되었던 유사 콜택시 서비스로 시작했다.

 택시와 같은 운송 서비스르 이용하고자 하는 개인과 유휴시간에

내 차를 다른 사람에게 게공하고자 하는 개인을 연락해주는 서비스인데

누구나 언제나 간편하게 모바일앱을 통해 차를 부르고 원하는 지역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결제까지 쉽고 빠른 것이 특징이다. 이 개념은 '공유경제'의 활성화를 촉발한 사례로 지목되기도 한다.

 

 

쉽게 말해 공유경제는 내가 가진 집, 차, 책 등을 내가 활용하지 않는 시간에 다른 사람과 나눠쓰는 것이다.

지금까지는 실제로 나눠쓴다기보다는 내가 가진 자원을 활용해 부가 수익을 얻는다는 일종의 비즈니스로 성장했다.

미국의 '이코니미스트'는 온디맨드 경제의 확산을 자본주의의 변화로도 해석한다.

또한 온디맨드 경제가 단편적인 변화가 아닌 지난 수십년간 계속된 다음의 두 가지 변화에 기인한 것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첫째, 평생직장의 개념이 사라지고 모든 영역이 기술중심으로 바뀌었다.

컴퓨터 프로그래밍이나 법률문제 등 기존에는 특정 지역의 전문가들만이 수행했던 일들이

기술의 발전으로 이제는 전 세계 전문가에게 배분되고 있다는 것이다.

 

둘째, 온디맨드 경제를 가속화하는 요인으로 생산 주체가 변화된 것을 들 수 있다.

 예전에는 생산수단을 소유한 자가 사람을 공유하는 구조였지만,

이제는 시간과 자원이 있는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과 상호 거래를 통해 자원을 공유하는 시대로 바뀌었다.

즉 직접 고용이나 생산이 아닌 새로운 자원을 공유함으로써 거래비용이 감소하게 된다.

 

 

이를 실현하는 온디맨드 서비스 기업은 자원의 수요자와 공급자를 연결해주는 서비스 관리자 역할을 하게 된다.

모바일 시대의 온디맨드가 활성화된 것은 모바일이 갖는 개인성, 이동성, 즉시성 때문이다.

즉 온디맨드 경제의 필요성이 응축되고 있는 시점에 모바일시대와 만나며 본격적인 온디맨드 경제가 이뤄지고 있는 것이다.

 

 

 

 

모바일산업은 그 변화의 속도가 너무나 빨라서 1년 후를 전망하는 것 조차 쉽지 않다고 한다. 그러나 전망해야 한다.

변화의 추이를 지켜보고 미래를 예측하고 대비를 하는 것이 그렇지 않는 것보다  훨씬 앞서갈 수 있기 때문이다.

 2015년 모바일 트랜드의 핵심 키우드는 '옴니채널'이라고 한다. 즉 O2O(온라인 투 오프라인, 오프라인 투 온라인)라는 생소한 단어가

불과 1년만에 온,오프라인을 통합하는 옴니채널시대로 변했으며 그것을 주도해 나가는 것이 모바일이다.

전세계의 옴니현상이 폭발적으로 확장되고 있으며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옴니채널 다음의 키워드는 일부 전문가들은 '온디맨드'를  뽑았다.

 

 

온디맨드라는 것은 형성된 옴니채널에 효용과 가치를 전달하는 것이 바로 온디맨드 서비스이다.

온디맨드는 고객의 요구가 있을 때 언제 어디서나 항상 고객 중심에서 그것을 해결해 주는 것을 말한다.

 즉 지난 시기는 고객이 재화와 서비스를 직접 찾아가는 공급자 우위의 시대였다면

이제는 고객의 요구에 맞는 서비스를 바로 제공하는 고객중심 고객우위의 시대가 된 것이다.

대표적인 예가 우버와 에어비앤비의 시비스이다. 이것은 거대한 흐름을 예고하는 신호탄이라고 볼 수 있다

온디맨드는 제한된 사업자만 서비스에 참여했다면 온디맨드 시대에는 누구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유휴자원을 나눠쓸 수 있다는 점에서 공유경제라고 부르기도 한다. 그 서비스의 영역은 무한대로 확장되고 있다.

 택시호출, 주차장예약, 차량수리, 세차, 헬스, 장보기, 시간제아르바이트 등 일상생활에서 필요한 모든 것이 서비스로 구현되고 있다.

 이 모든 것을 가능하게 해 주는 것이 모바일산업이다. 모바일 산업은 너무나 빠르게 변화하기 때문에 여기에 적응하느냐

그렇지 못하느냐에 따라 시장에서의 성패가 결정된다. 즉 한발 빠르게 선점하는 것이 생존의 법칙이며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자만이

생존뿐만 아니라 시장의 점유율을 폭발적으로 늘릴 수 있게 될 것이다.

+ Recent posts